기후위기에 대한 대응을 재생가능에너지 확대로 좁히는 것은 최악이다. 미국과 유럽의 많은 나라들은 식량자급이 가능한 국가들이지만, 대한민국은 전혀 다른 조건에 있다. 더구나 지금 아무리 재생가능에너지를 확대해도 이미 심각해진 기후위기를 되돌릴 방법은 없다. 기후위기는 지금보다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최선을 다한다고 해도, 속도를 늦추고 대비할 시간을 버는 정도이다.
오히려 기후위기에 대응하려면 핵심은 ‘분산’이다. 지금처럼 수도권으로 전력수요가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전력문제를 해결하기도 어렵고, 안전성을 담보하기도 어렵다. 생산한 곳 가까이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 개념을 전기에도 도입해야 한다. 그러면 장거리 송전선도 필요없다. 서남해안이나 동해안에서 발전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송전하기 위해 엄청난 재정적ㆍ사회적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재난이나 사고로 인해 초고압 송전망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 겪을 수 있는 충격도 줄일 수 있다.
하승수 대표가 한국농어민신문에 기고한 기사입니다.
기사 전문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 ‘분산’을 화두로 삼아야